[스크랩] ♡ 금강경 법문(세번째) ♡ 금강경 법문(세번째) 불,법,승 세상은 각 계의 계층들이 모여 바른 관계 속에서 번영을 이루어간다.... 이웃이 행복하지 못하면 나에게도 행복이란 있을 수 없다. 모든 삶은 축복이다. 삶의 주체인 우리 인간 사람들의 삶은 그 축복을 나누어 가져야 한다. 그것이 바로 부처님께서 보신 .. 지혜의 공간 2017.02.16
[스크랩] ♡ 금강경 법문(두번째) ♡ 금강경 법문(두번째) 불 법 승 부처님께서 6년 고행 하시고 도를 깨치시어 모든 생명 세계에 들어가 보니 생명마다 불성이 있음을 보셨다. 부처님이 가지신 자비나, 중생이 가진 자비가 조금도 다르지 아니함을 보신 것이다.... 성불하면 별다른 다른 진리의 세계가 이루어 지고 제 삼의.. 지혜의 공간 2017.02.15
[스크랩] ♡ 금강경 법문(첫번째) ♡ 금강경 법문(첫번째) 자성이란 무엇일까? 자신이 만들어 내는 작품이다.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여 주고 아무 조건없이 남을 편안하게 하여주는 것이 자성이란 작용이요! 본질이다.... 나라는 아집 욕심 애고(愛苦)라는 것이 자성을 물들게 하여 남도 피로하게 하고 자신도 피로하게 만든.. 지혜의 공간 2017.02.14
[스크랩] ♡ 괴로움은 집착으로부터 온다 ♡ 괴로움은 집착으로부터 온다 사람들은 돈이나 권력등 모든 것을 자기만이 소유하려고 마음을 쓰다가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괴로워한다. 자기만이 그 사람을 사랑하려고, 사랑하는그 사람의 모든 것을 자기만이 소유하려고 할 때 고통은 따르게 마련이다. 어떤 사람을 생각할 때.. 지혜의 공간 2017.02.13
[스크랩] ♡ 웃어야 웃을 일이 생긴다 ♡ 웃어야 웃을 일이 생긴다 그냥 빙그레 미소 지을 뿐이다. 나는 고정 되어 있지 않고 끊임 없이 순간 순간 변하고 있다. 이 생각 했다가 돌아서면 저 생각하고, 생각에 따라 행동도 바뀌게 된다. 이렇게 나 자체가 공하여 없으니 어떤 것도 붙을 데가 없고 붙을 것 또한 없다. ... 업도 고.. 지혜의 공간 2017.02.12
[스크랩] ♡ 행복을 품은 정월 대보름 달의 성품 ♡ 행복을 품은 정월 대보름 달의 성품 "정월 대보름" 하나같이 모두들 달을 보며 소원을 빈다.... 그 순수하고 착한 마음을 달님이 모를리는 없다. 다만 준비하지 않고 "씨앗을 심지 않았다면 열매가 열리지 않은 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 세상에 본래 착하지 않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 지혜의 공간 2017.02.11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마흔번째) ♡ 반야 심경 법문(마흔번째) 부처님의 가르침, 불교의 핵심 목표는 해탈과 열반이다. 이제까지 공의 이치에 대해서 지혜의 이치에 대해서 살펴보고 자신을 성찰해 보았다. 한 번 밖에 없는 인생을 헛되이 살아서는 안된다.... 70억 속에 가장 소중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 바로 자신이다. 얼.. 지혜의 공간 2017.02.10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 (서른아홉번째) ♡ 반야 심경 법문 (서른아홉번째) 사람에게 업식(業識)이 없다면 똑 같은 사물을 보고 똑 같이 느낄 것이다. 사람은 저 마다 업식이 다르기 때문에 똑 같은 사건을 보고도 서로 다르게 보고 다르게 판단한다. 그 상황의 대처 방법도 사람 마다 다 다르게 대처 한다. ... 사람마다 자신의 토.. 지혜의 공간 2017.02.09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서른여덟번째) ♡ 반야 심경 법문(서른여덟번째) 진언 (眞言 ) 말 보다 무서운 칼날은 없다. ... 사람이 저지르는 죄 가운데 가장 많이 짓는 것이 말이다. 말에는 거짓말,쓸데 없는 말,남을 험담하고 비방하는 말, 이간질 시키는 말, 사이를 갈아놓는 간사한 말등이있다. 천수경의 정구업진언은 인간이 가.. 지혜의 공간 2017.02.08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서른일곱번째) ♡ 반야 심경 법문(서른일곱번째) 반야바라밀다는 인간사에 진리중에 진리이다. 인간에게 기적을 가져다 주고 기적을 불러주는 신비의 힘을 가졌다. 사람이 깨달으면 진실로 ... 행복한 열반 적정 해탈의 세계에서 살게 된다. 인간의 위대한 업적을 이룬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반야바라밀.. 지혜의 공간 201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