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의 (用心)자유
마음 이란 시시때때로 변화무상 하다.
생색을 내지 말고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두라.
물질에 탐욕하지 말고 기분좋은 소리 기분나쁜 소리에 억매이지 마라.
말길에 향기가 나고 말씀에 향기가 나야 한다.
아름다운 삶을 살려는 곳에 마음을 두고,
향락에 취하거나, 향락에 빠져 본분사를 잃지 말아야 한다.
법 답게 살려는 멈추지 않은 노력으로 살아가라.
그 어떤 것이든, 집착은 금물이다.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인생이 되게 하라.
물질로써 보시하고, 칭찬하는 말로서(愛語)보시하고,
상대의 입장에서 보고 들으며,
일상의 생활에서 아름다움을 찾아라.
따뜻한 가슴과 부드러움으로 대하며, 부처님의 법에
의지해 살아가려고 노력하라.
뜻있게 살고자 하는 삶이 보시하는 삶이다.
자신이 하는 말에 책임감이 있어야 하고,
자기가 하는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말에 진실하고 행동에 진실하라.
무한하게 슬기로운 것이 우리이기도 하고,
뻔뻔스럽고 저질스러운 것도 우리다.
고려청자인 자기를 개밥 그릇으로 만들지 마라.
고귀하고 순수하며 슬기로운 우리다.
마음을 고려청자 처럼 고결하게 쓰라.
마음을 개밥 그릇처럼 쓰지 말라.
댓가와 조건을 붙이는 마음은 천한 마음이다.
무주상 보시는 지혜를 얻어내는 광명 여래다.
지혜가 없으면 상처투성이의 삶이 되기 일쑤다.
댓가와 조건을 붙이면 배풀고도 옹졸한 사람이라 욕을 먹는다.
마음은 아무리 써도 부족함이 없는것이다.
왜 옹졸하여 망설이며 넓게 쓰지 못하는가?
우리 모두는 원래 모자람이 없는 마음을 다 가지고 있다.
원심 모자람이 없는 마음을 표출 하며 불법에 힘쓰는
불자로 여래의 마음으로 광명과 자비로 사랑의 불을
밝히어 가야 할 것 입니다.
나무 시방불
나무 시방법
나무 시방승
성불은 행불 부터
행 불 하 세 요! _((()))_
'지혜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 (스물여섯번째) (0) | 2017.01.23 |
---|---|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스물다섯번째) (0) | 2017.01.22 |
[스크랩] ♡ 법화경 에세이/지혜 (0) | 2017.01.20 |
[스크랩] ♡ 법화경 에세이/당신의 인연 (0) | 2017.01.19 |
[스크랩] ♡ 반야 심경 법문(스물네번째) (0) | 2017.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