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 리 내 어 불- 러 봤 지 만 그 대 는 떠 - 났 네-- |
<시범노래♬1> 싱커페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노래 : (예제 13 - a)
<시범노래♬2> 싱커페이션을 사용한 노래 : (예제 13 - b)
<반주> 남자 키로...
<반주> 여자 키로...
앤티시페이션이 주로 소절과 소절 사이에 일어나는 선행음(先行音)을 말하는데 비해, 싱커페이션은 한소절 안에서 일어나는 각 박자간의 당김음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시범노래【예제 13 -a】와 b를 들어보면 싱커페이션이 무엇인지 이해가 될 것입니다.
악보 【A】는 싱커페이션을 하지 않은 정박자 노래(시범노래 예제 13- a)입니다. 그러나 이 노래의 형식적 리듬이 리듬분화가 많은 펑키(Funky)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정박자 노래는 자칫 지루한 감을 주기 쉽습니다.
노래에 이러한 지루한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 몇몇 음에 스피드감을 주는 싱커페이션을 사용한 것이 【B】즉, 【시범노래 예제 13- b】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B】의 <불>과 <만>, 그리고 <는> 및 <네>에서 각 각 싱커페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노래의 느낌이 훨씬 생동적이고 산뜻해 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보는 바와같이, 싱커페이션은 본디 박자보다 16분음표( x ) 또는 8분음표( e )의 길이를 앞으로 당겨 붙여 노래함으써, 노래에 순간적인 스피드 감 과 함께 박진감 있는 멋을 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리듬 기법입니다.
2. 앤티시페이션(Anticipation)
자기 박자보다 앞으로 당겨 노래하는 선행음이라는 점은 싱커페이션과 같습니다. 그리고 노래의 흐름에 탄력적인 스피드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점도 같습니다.
그러나 앤티시페이션은 특정된 소절(小節)의 첫박자를 그 직전 소절로 앞당겨 노래함으로써, 스피드(Speed) 감은 물론 그 첫박자에 강력한 액센트와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즉, 앞으로 당기는 선행음이라는 의미에서는 리듬 기법에 해당되지만, 동시에 앤티시페이션 하는 첫박자에 강력한 액센트를 붙인다는 의미에서는 일종의 강조법(强調法)의 의미도 포함된 기법입니다.
아래 예제를 살펴 보겠습니다.
♡ 너에게로 가는 길 : 장 동 건 노래
<악보【A】>
|
 |
|
너 는 아직 모 를 거 야 너 하 나 로 빛 나 는 하 - 루 를 |
<악보【B】>
|
 |
|
너는아직 모를 거야 너 하 나 로 빛나 는 하 - 루 를 |
<시범노래♬1> 앤티시페이션을 사용하지 않은 노래 : (예제 15 - a)
<시범노래♬2> 앤티시페이션을 사용한 노래 : (예제 15 - b)
<반주> 남자 키로...
<반주> 여자 키로...
앤티시페이션은 소절과 소절 사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뒷소절의 첫번째 박자를 강력한 액센트와 스피드 있게 처리하고 싶을 때는 앞소절로 사정없이 당겨 붙여 노래함으로써 앤티시페이션의 멋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시범노래 예제 15 - a】는 평범한 정박자로 노래한 것입니다.
이에 비해 【시범노래 예제 15 - b】에서는 <너>를 앤티시페이션으로 처리하여 멋진 효과를 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전형적인 앤티시페이션 기법인 하나로의 는 강력한 드라이브 액센트와 함께 스피드 감의 극치를 느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싱커페이션과 앤티시페이션은 사용하기에 따라서는 여러분의 노래에 품위와 멋을 더해 주는, 그야말로 마법(魔法)과도 같은 힘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