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반야 심경 에세이(20)
♡ 반야 심경 에세이(20)
사리자(舍利子)
사리자는 부처님의 십대 제자 중 지혜가 가장 뛰어난 제자 이다.
...부처님의 십대 제자
1.지혜제일 사리불 존자
2.신통제일 목련 존자
"두 분은 부처님 보다 먼저 열반에 드신 분들이다."
3.두타제일 마하가섭 존자
"마하가섭이 상수 제자가 되어 부처님의 경전을 결집 하였다."
4.천안제일 아나율 존자
5.혜공제일 수보리 존자 -금강경에 나오는 주인공이 수보리다
6.논의 제일 가전연 존자
7.설법 제일 부르나 존자
8.지게 제일 우바리 존자
9.밀행 제일 라후라 존자
"부처님의 아들이다."
10.다문 제일 아난존자
"부처님의 말씀을 모두 기억하여 부처님의 경전을 결집하는데 가장 많이 기여한 제자다."
불교를 복잡하고 어렵다고 한다.
알고 보면 가장 쉬운 것이 불교다.
서울로 가려면 동쪽에 있는 사람은 서쪽으로 가라 하고 가르쳐 주시고 서쪽에 있는 사람은 동쪽으로 가라고 가장 쉽게 가르쳐 주시기 때문에 가장 쉽다.
자기가 처한 위치에 따라 근기에 따라 여려가지 쉬운 방향을 이용하라고 가르친다.
그래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강을 건너는 땟목에 비유하신다.
동에 있는 사람을 서로 건너주시고, 서에 있는 사람을 동으로 건너주신다.
어린 아이와 어른 그 사람의 입지에 맞게 가르쳐 인도 하여 주신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만병 통치 약은 없다.
그 사람의 병에 따라 약방 문을 지어 주신다.
약방 문을 지어 주시는 것이 불교 경전 모든 가르침이 약방문 이다.
그 약을 먹고 먹지 않고는 그 사람의 몫이다.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 자기 근기에 맞는 경전을 선택하여
자기 종파를 만드는 교주들이 많다.
자기가 믿는 경전이나 진언이 최고요! 전부라고 고집하는 것은 올바른 불제자가 아니다.
자기의 주관만 고집하는 것은 아집이다.
부처님의 말씀을 빌어서 자기 경전만 고집하는 것은 법집이다.
불법을 그 어떤 상으로도 지으면 안된다.
법화경이 최고다, 화엄경이 최고다, 금강경이 최고다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진리를 진리로 고집하면 그것은 이미 진리가 아니다.
오온이 空하다는 것, 오온은 실체가 없고
고정 불변 하는 것은 없다라고 가르쳐 주시는 것이다.
그래서 반야심경에는 색이라는 단어가 주가 되기도 한다.
왜? 색이 공한가?
색불이공/불이(不異)다르지 아니하다.
다르지 아니하다가 핵심이다.
색이 공과 다르지 아니하다는 것은 무상과 무아가 다르지 않다는 말이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는 연기법(緣起法)이다.
모든 것은 말미암으로 일어난다.
모든 것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그물코에 걸린 것 처럼 모두가 연기되고 연관되어 존재 한다.
그래서 모두의 본 바탕은 무상으로 존재 하는 것이다.
무상(無常)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사라진다.
제행무상(諸行無常)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
생노병사가 무상하다,부귀 영화가 무상 하다,
성주 괴공이 무상 하다. 막을 길도 없고, 막아지지도 않는다.
그래서 만유 불변의 진리를 무상 하다 하는 것이다